무협이라는 떨쳐 일어서기 <무명의 별>
<무명의 별>은 출간 전부터 제가 '각'을 보고 있었던 작품입니다. '이 작품 느낌이 꼭 출간될 것 같은데?' 뭐 이런 느낌이 강하게 왔거든요. 골드코인으로 전 회차 구매하기는 했지만, 저는 모바일 E북 독서에 익숙하지 않은데다 제 리더기는 브릿G를 지원하지 않아서 읽지 못하고 방치해 놓고 있었습니다.
이시우 작가님은 '저랑 파장이 맞는다'고 느끼는 작가입니다. 첫 작품 <이계리 판타지아>를 쓰신 후에, <장르의 장르>라는 인터뷰집에서 (여기서는 필명 '왼손'으로 참여하셨습니다.) '어반 판타지'에 대해 이야기하시는 걸 봤을 때, '통했다'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 그 점에서 <무명의 별>을 발견했을 때 꽤 반가웠습니다. 마침 그 때가 제가 <청춘 환상 검무곡>을 연재하던 중이었거든요. 첫 장편이자 어반 판타지였습니다. 어느 정도 무협적인 요소들을 차용하려고 노력한 흔적도 있었구요.
작품 내용은 간단합니다. 현대 서울 ~ 통영을 배경으로, 어쩌다가 과외 선생님께 무공을 배운 권별과 산중노인의 무기로 길러진 무명이 만나 통영을 뒤집어 엎는 이야기입니다. 조금 <아라한 장풍대작전> 같아요.
처음 <무명의 별> 읽었을 때만 해도 저는 반가웠습니다. 그도 그럴게 E북 독서가 안 되어서 못 읽었던 작품을 종이책으로 만나게 되었으니까요. 읽는 내내 '아. 이거 빨리 읽어야하는데. 너무 재밌는데.' 하고 하루종일 이 책 생각만 했습니다. 상투적인 표현이지만 사실이 그러합니다. <과외활동>을 두고 좋은 소설이라 했던 게 기억이 납니다. 그 다음에 <이계리 판타지아>를 읽었었는데요. 사실 <이계리 판타지아>는 제대로 못 읽었습니다. 작품 자체에서 '훅 끌어당기는 게 없다'는 느낌과 ⋯ ⋯ . 황금가지 편집부에서 무슨 문제가 있었는지 조판이 읽기 불편했습니다. 글씨 크기가 너무 작았어요. 그러나 <무명의 별>은 <이계리 판타지아>와 <과외활동>을 거쳐 굉장한 작품이 나왔다는 생각을 하게 해 줍니다. 현대 한국을 배경으로 온갖 무협 클리셰들을 재해석해서 먹여줍니다. 죽은 스승에 대한 복수와 자신의 (무림인적) 정체성을 고민하는 캐릭터가 있구요, 이 앞, 백합 있습니다. 한국 종이책인데 백합이 매우 찐합니다.
다 읽고 놀랐던 건 서술기법입니다. 이 책의 화자는 미래의 권별이 과거사를 이야기하듯 되어있습니다. 사실, 무협적인 작품을 쓰다 보면 제일 난처한 건 '액션씬'입니다. '필살기' 쓰자니 이름이 구리면 난처하고, '세밀한 동작 묘사'를 하자니 흐름 깨지기 쉽습니다. 그런데 이걸 '기억을 더듬어 쓰는 식'으로 하면, 액션을 더욱 생생하게 독자에게 들려줄 수 있습니다. 덕분에 다양한 무공을 가진 조연들 또한 돋보입니다. 신선객 같은 캐릭터가 제 취향입니다.
다 읽고 드는 감정은 ⋯ ⋯ . 솔직히 말할까요. 질투입니다. 제가 <청춘 환상 검무곡> 쓸 때 이 작품을 발견했다고 했지요. 그때 안 읽어두길 잘했다.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 작품이 제가 지향했던 바와 굉장히 비슷합니다. 주인공으로 귀여운 여자애들 나와서, 무공으로 다같이 싸우고, 밥먹고, 놀고. 이 패턴을 반복하는 것. 어찌 보면 비슷한 주제의 두 작품인데, (출간연도로 세어서) <이계리 판타지아>가 7년 전 소설이니 8년차 작가님과 저의 수준 차이를 엿본 것 같달까요. '이걸 반도 못 따라가면서 작가 씩이나 되려고 했단 말이냐?'
그래도 질투를 조용히 쳐다보고 있으면, 속삭임이 들려옵니다. '그래서, 안 할 거냐?'는 거죠. 그럼 욕 한 번 뱉어주고 훌훌 털고 일어서야겠죠. 자기연민으로는 아무것도 못하니까. 생각해보면 무협은 대체로 그런 내용입니다. 떨쳐 일어서기 위해 무를 배우고, 나아가기 위해 협을 깨닫는.